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바로 아는기자 이어갑니다.<br> <br>경제산업부에서 강유현 차장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오늘 코스피도 상승 마감했습니다. 기대감이 반영된건가요? <br> <br>A1. 네 맞습니다. <br> <br>미국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국채금리가 하락하고, 시장금리도 따라서 내려갑니다. <br><br>예금금리도 떨어지겠죠. <br> <br>그럼 채권에 투자했던 기관투자가들과 예금에 돈을 넣어둔 사람들이 더 좋은 수익률을 얻기 위해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증시 상승엔 이런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Q1-1. 그러면 지금 여윳돈이 있다면, 주식 사도 되는 겁니까. <br> <br>A1-1. 결론적으로는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><br>최근 코스피 흐름입니다. <br> <br>10월 말 2300 아래로 떨어졌다가 오늘 2544.18까지, 한 달 반 만에 11.7% 올랐습니다. <br> <br>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조만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할 거라는 기대감이 나오면서 주가에 선반영이 된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전문가들은 미국이 금리 인하를 시작하기 전까지 주식시장이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물가가 완전히 잡히지 않은 데다 경기 침체 우려도 여전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Q2. 그렇군요. 비트코인이나 금에 투자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텐데, 어떻습니까. <br> <br>A2. 비트코인은 위험자산, 금은 안전자산이죠. <br><br>두 자산의 특성은 정반대인데 연준의 금리 인하 언급 이후 가격이 둘 다 올랐습니다. <br><br>오늘 오후 5시 기준 국제 금 시세는 전일 대비 2.5%가량, 비트코인은 4%대 상승했습니다. <br> <br>비트코인은 주식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자금들이 유입될 거라는 기대감 때문에 올랐습니다. <br> <br>금에 대해 말씀드리면요. <br> <br>미국 기준금리가 떨어진다는 건 달러를 보유할 때 수익이 줄어든다는 말입니다. <br> <br>금은 국제시장에서 널리 통용돼서 달러의 대체재로도 불리는데, 미국 돈의 가치가 떨어지니 금의 가치가 올라가는 겁니다.<br> <br>Q3. 그리고 대출 있는 분들 많잖아요. 일단 숨통은 트이는거죠? <br> <br>A3. 네. 대출금리는 시장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집니다. <br> <br>시장금리가 떨어지면 대출금리도 떨어지겠죠. <br> <br>이미 대출을 갖고 계신 분들은 대체로 6개월마다 금리가 변동될 텐데요. <br> <br>앞으로 금리가 소폭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Q4. 하나 더, 부동산 가격은요? 집값이 다시 오를 수도 있습니까. <br> <br>A4. 서울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격을 보며 설명 드리겠습니다. <br> <br>지난 9월 가격 상승률이 꺾이기 시작해 지난달 하락으로 돌아섰습니다. <br> <br>9월엔 미국 연준이 "더 높은 금리를 더 오래" 가져간다는 방침을 밝히며 투자 심리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. <br> <br>또 소득에 제한 없이 더 많이, 더 싼 금리에 빌려주던 특례보금자리론도 중단되며 돈줄도 말랐습니다. <br> <br>일반적으로 금리가 내려가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긴 합니다. <br> <br>다만 매수 시기를 특정하기에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데요. <br> <br>미국 기준금리는 내년에 세 번 내려간다 해도 연 4%대 중반으로, 여전히 높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에게 물어봤더니 부동산 가격이 이미 많이 오른데다 경기 악화 가능성도 있어 더 오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네, 알겠습니다. 지금까지 강유현 차장과 아는 기자였습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강유현 기자 yhkang@ichannela.com